경기도에서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청년과 노인을 위한 외래 진료비를 지원하는 마인드 케어 지원 사업을 실시합니다.
주요 정신질환이 많이 나타나는 청년층과 자살률이 높은 노인층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집중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래진료비를 지원합니다.
오늘은 경기도에서 진행 중인 경기도 청년과 노인을 위한 정신질환 진료비 지원 마인드 케어 사업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경기도 마인드 케어 사업은 무엇인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과 노인에게는 소득 기준이나 정신건강 복지센터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외래 진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10대에서 30대의 젊은 층과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기 발견 및 집중 관리의 필요성을 반영하여 2020년에 시작된 지원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지원 및 신청 기간, 신청 방법, 제출 서류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기간, 신청 방법, 제출 서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원 대상
- 진료일과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 경기도 주민
청년과 노인
-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경기도 청년(1989년부터 2005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
- 만 65세 이상의 경기도 노인(1959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
정신건강 의학과에서 질병 진단을 받은 사람
청년(질병코드 및 진단명)
– F20~29(조현병, 분열형 및 망상성 장애)
– F30~39(기분정동장애)
– F40~49(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로 5년 청년 이내 최초 진단
노인(어르신)
– F32~39(우울에피소드 등)로 진단
지원내용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진료 시 해당 연도에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1인 기준 연간 36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타 전공 분야인 내과, 신경과 등이나 한방병원 및 클리닉에 대해서는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비급여 항목은 지원되지 않지만, 검사료와 제증명료에 대한 본인 부담금은 지원이 가능합니다.
검사 비용: 정신과 병원이나 심리 상담 센터에서 진행하는 경우
증명서 발급 비용: 치료비 지원 요청 시 주민등록등본, 진단서, 소견서, 원본 서류 및 발급 비용 영수증을 제출해야 함
지원 및 신청 기간: 예산이 소진될 때까지 지원 및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신청자 주민등록표 청구
지원 대상 여부를 신청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출서류
경기도 정신건강 외래치료비 지원 신청 양식
질병 코드와 초진 연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경기도민 인증 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