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돌봄이 필요한 청년 및 중장년, 그리고 가족 돌봄을 하는 청년의 일상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을 확대하여 진행합니다.
작년에 용인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실시된 서비스를 수원시를 포함한 27개 시군으로 넓혀서 진행합니다.
오늘은 경기도에서 일상 돌봄 서비스 사업을 확대 시행하는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상 돌봄 서비스 사업이란 무엇인가?
청년 및 중장년에게 필요한 돌봄을 제공하며, 부모나 형제자매를 돌보는 청년에게는 돌봄과 가사 관련 지원 서비스를 실시합니다.
- 질병이나 부상, 혹은 고립으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운 상황
-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자립이 필요한 경우
- 자립준비 중인 청년들은 물론 돌봄이 필요한 중장년층(19세~64세)
- 질병에 걸린 가족을 돌보거나 생계에 책임을 지고 있는 가족 돌봄 청년(13세~39세)
보건복지부에서는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돌봄 서비스의 도움을 받지 못했던 청년과 중장년층을 위해 기본 서비스와 특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용자의 요구에 맞춰 재가돌봄, 가사, 식사 및 영양 관리, 심리적 지원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합니다.
경기도에서 일상 돌봄 서비스 사업을 확대 실시합니다.
경기도는 지난해 용인시를 포함한 5개 시군에서 실시된 서비스를 올해는 수원시를 비롯한 27개 시군으로 확대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시행되는 시군 목록(27개 지역)
– 고양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군포시
– 김포시
– 남양주시
– 동두천시
– 부천시
– 성남시
– 수원시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양주시
– 여주시
– 오산시
– 용인시
– 의왕시
– 의정부시
– 이천시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지원대상, 지원내용, 이용금액, 지원기간, 신청방법, 문의처
지원대상
- 돌봄의 필요성이 있는 청년 및 중장년층(19세~64세)과 가족 돌봄을 담당하는 청년(13세~39세)
소득과 나이 조건을 만족해야 함
지원내용
이용자의 필요에 맞춘 돌봄 서비스와 개인화된 사회서비스 제공
이용 요금: 중위소득에 따른 개인 부담 비율 차별적 지원
지원 기간: 6개월에서 최대 3년까지 이용 가능하며, 재판정은 5회 실시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주민등록상의 주소가 있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각 지자체의 추진 일정과 서비스 제공 내용을 확인합니다.
문의처: 해당 지역 자치단체의 복지정책과에 연락하세요.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방법과 조건 완벽 정리! 가구, 소득, 재산에 대한 모든 정보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