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노인층을 위한 폐렴구균 예방접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3년 5월 이후로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위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질병관리청이 지원하는 어르신 폐렴구균 국가 예방접종 지원 사업의 대상자, 지원 내용, 접종 기준, 그리고 접종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폐렴구균은 어떤 종류의 세균인가요?
급성 중이염, 폐렴, 균혈증, 수막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기도의 상부에 감염이 발생하여 폐렴을 유발하고, 이는 폐렴구균으로 인한 균혈증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뇌 수막염과 심내막염 같은 침습적 폐렴구균 감염은 6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상당한 위험을 가집니다.
최근 10년 동안 폐렴구균 감염증의 발생 신고는 연평균 380명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최근 3년간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023년 폐렴구균 감염증 발생 현황
– 총 신고된 건수: 432명
– 65세 이상 노인 중 감염자는: 244명(56.5%)
어르신 폐렴구균 국가 예방접종 지원 사업이 질병관리청 주관으로 진행
질병관리청은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폐렴구균에 대한 23가 다당 백신 예방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대상자는 정해진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찾아가서 1회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65세 이상의 어르신 중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분들
2024년 기준 1959년 12월 3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
지원 내용: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1회 제공
접종 시기: 상시
접종 기준
65세 이후에 접종한 경우: 접종 불가
65세 이전에 접종을 받은 경우: 의사와 추가 접종에 대해 상담하세요.
- 접종 장소: 근처의 지정된 의료 시설 및 보건소
- 예방접종 도우미 웹사이트를 통해 지정된 의료기관을 검색하세요.
관련 문의
보건소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관리부서: 043-719-8398~8399
질병관리청 상담전화: 국번 없이 1339
예방접종 시 유의해야 할 사항
건강이 좋지 않을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음
예방접종을 받기 전에는 반드시 의사의 검진이 필요하다.
접종을 받은 후 20~30분 동안 접종한 장소에 머물며 부작용 여부를 확인합니다.
AIG손해보험 시니어 보험의 3가지 매력 포인트 탐방하기 50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필수 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