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및 심혈관 질환에 노출된 직원들을 위해 심층 건강 진단 비용을 지원하는 유익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정부는 뇌와 심혈관계 질환에 노출된 근로자들을 위해 조기 발견과 집중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안전보건공단에서 진행하는 뇌·심혈관 고위험군을 위한 심층 건강 진단 비용 지원 사업의 지원 대상과 내용, 신청 절차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뇌와 심혈관 고위험군을 위한 심층 건강 검진 비용 지원 프로그램
장시간 힘든 근무와 야간 근무, 스트레스를 받은 경비원, 택시 기사, 버스 기사, 택배 기사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안전보건공단에서는 뇌와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큰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뇌 및 심혈관 건강 진단을 실시하여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집중적인 관리를 도와줍니다.
지원 대상 및 지원 내용, 신청 방법에 대한 정보
지원 대상
산재보험에 가입된 사업장에서 일하거나 노무를 제공하는 근로자
아래의 조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뇌 및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 요인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최고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최저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 공복 혈당이 126㎎/㎗ 이상인 경우
– 총 콜레스테롤이 240㎎/㎗ 이상이거나 LDL이 160㎎/㎗ 이상이거나 중성지방이 200㎎/㎗ 이상인 경우
– 비만(BMI가 30 이상) 또는 복부 비만(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인 경우
– 뇌 및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평가에서 고위험 또는 최고 위험 등급으로 판별된 경우
– 일반검진(국가검진)에서 심·뇌혈관 질환의 10년 발병 위험도가 5% 이상인 경우
– 근로자 건강 센터나 의료기관에서 의사가 상담 및 진료 중에 심층 건강진단이 필요하다고 권유한 경우
– 55세 이상의 경우
– 야간 작업 특수 건강진단에서 CN 또는 DN 판정을 받은 경우
– 근로기준법 제53조제4항(특별연장근로 인가) 또는 제59조(특례업종)의 적용을 받는 경우
지원 대상 증명서류
· 검진 결과 : 일반검진 또는 특수건강검진
뇌 및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 요인
검사 항목 결과가 포함된 검진 결과서
· 뇌와 심혈관의 발병 위험도 평가 결과 : 사업장에서 자체 실시한 평가 결과서
· 심장 및 뇌혈관질환 10년 발병 위험도 5% 이상 : 일반검진의 결과 자료
· 근로자 건강 센터 의뢰자 : 건강 상담 후 발급된 의뢰서
· 만 55세 이상 : 신분증 확인 필요
· 특수건강검진의 유해 인자 야간에 대한 Cn, Dn : 특수건강검진 결과서
· 특별 연장근로 인가 : 고용노동부 지청에서 발급받은 특별 연장근로 인가서의 사본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
1순위: 야간 특별 건강진단 결과 건강 문제자(Cn, Dn)
2순위: 근로기준법 제53조 제4항 또는 제59조의 적용을 받는 사람 중 건강이 좋지 않은 자
3순위: 뇌 및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사망률 상위) 5대 업종의 근무자 건강 이상자
4순위: 55세 이상으로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
5위: 작년 직군별 건강검진 결과 건강 이상자
6순위: 1~5순위 외에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
7순위: 야간 근무자, 추가 근무 대상자, 특수형태의 근로자 등
지원사항(기본 건강 진단 및 세부 검사 지원)
- 지원금: 156,000원(기본 검사 비용 195,000원 중 80% 지원)
검사 내용: 진료, 측정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정밀 검사
초고위험군에 대한 관리 지원: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의 판단이 있을 때
추가 검사 건강진단 비용 80% 지원
· 심장 구조에 대한 정밀 검사 및 건강 상담 2회
· 심혈관계에 대한 정밀 검사 및 건강 상담 2회
· 뇌혈관계에 대한 정밀 검사 및 건강 상담 2회
신청 일정은 분기마다 진행되며, 뇌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큰 분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지원하게 됩니다.
신청하는 방법(인터넷)
안전보건공단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자주 찾는 메뉴에서 “뇌·심혈관 고위험 노동자 심층 건강 진단 비용 지원”을 선택하세요.
신청 절차(오프라인)
신청서를 작성한 후 안전보건공단으로 FAX 신청: 052-702-9507
신청 방법(방문)
안전보건공단 방문 신청
접수 확인
안전보건공단 웹사이트에서 신청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웹사이트에서 자주 이용하는 항목으로 가서 심층 건강진단 비용 지원 부분에서 신청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052-703-0643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 거절되는 이유와 신용등급 하락 분석